보통콘크리트

 

25

 

-

 

24

 

-

 

150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구분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따른 구분

단위:mm

 

 호칭강도

단위 : MPa

 

 슬럼프 또는 슬럼프 플로

단위:mm

 

1. 굵은 골재 최대치수(mm)

    - 자갈 굵기 
    - 골재최대치수 : 25mm 이하 
    - 골재최대치수 허용내에서 최대한 큰게 좋다.

 

2. 강도(kg/cm2, MPa)

- 1cm2 당 압축강도
- 15, 18, 21, 24


3. 슬럼프*(mm)

    - 원기둥(위 100mm, 바닥 200mm)으로 300mm높이 만들었을때 흘러 내리는 정도
    - slump값 위에서부터 얼마나 낮아지는지 값으로 표현(mm) 
    - 되면 값이 작음, 묽으면 값이 커짐
    - 공사하지 편한 질기 
    - 되면 강도가 세고 묽으면 강도가 약해짐
    - 바닥 타설시에는 된 콘크리트(슬럼프가 작은)를 써도 되지만, 기둥 타설시에는 곰보가 생길 수 있음
    - 기둥, 보에는 120~150 
    - 가수금지(물을 더 타면 안됨)

    - 슬럼프 테스트 위키

 

 

 


이외에..

    - 혼화재
        많은 량 - 배합계량에 반영
        소량투입 - 배합계량에서 무시
        예 : 슬래그 : (볼베어링 역할)
              AE제 : Al, Zn등 소량의 미세금속분
                    다량발생-> 슬럼프 값이 커짐, 동파에 견딤
             방동제 : 동결방지 기능
             방수제 : 방수성 기능 향상

 

 

레미콘 차량(아지테이터 드럼)  

    - 6루베(6m3)
    - 1m3 -> 2.3ton

 

 

해당 글은 아래 유투브에서 참조한 내용입니다.

 

 

 

참조 블로그 : https://goodid97.tistory.com/137

 

레미콘 주문(규격)

오늘은 레미콘에 대해서. 원래 정확한 이름은 READY-MIXED CONCRETE 제조 되어서 주문자에게 운반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다. 레미콘하면 먼저 주문을 하게 되는데, 보통콘크리트 25 - 24 - 150  콘크리��

goodid97.tistory.com

참조 글 :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9&docId=306844487&qb=7L2Y7YGs66as7Yq4IOqwleuPhCAyNS0yNC0xNT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

 

콘크리트 강도에 대해 궁금합니다

콘크리트 규격25-180-8 (강도의 쓰임새 예를들어 버림콘크리트)25-210-1525-240-1525-270-1525-300-15 각 강도의 쓰임새? 가 궁금합니다. 180의 강...

kin.naver.com

 

단위 정리

루베 = 부피단위(세제곱미터) = 가로 X 세로 X 높이

헤베 = 넓이단위(㎡ 제곱미터) = 가로 X 세로

 

 

 

톤으로 환산

루베는 부피의 단위이고, 톤은 무게의 단위이다.

 

 

물 = 1 t/㎥                                    시멘트.모르터 = 2.1 t/㎥

모래 진흙 = 1.7~1.9 t/㎥                  무근 콘크리트 = 2.3 t/㎥

자갈섞인토사 = 1.7~2.0 t/㎥             석재, 사석 = 2 t/㎥

주철 = 7.25 t/㎥                              목재 = 0.8 t/㎥

 

 

 

트럭 종류별로 나를 수 있는 흙의 양

15톤 = 10루베

24톤 = 16루베

25.5톤 = 17루베

27톤 = 18루베

 

상차 후 박스위로 안넘게 깎아야 정량임

현장에서는 10%정도 추가 계산을 해야함(담으면서 부피가 커지는 양을 고려)

 

가로 27m 세로 8m 깊이 10m 흙파기 양

27 X 8 X 10 = 2,160루베

 

24톤 트럭 기준 필요 상차 횟수

2160 X 1.1 = 2,376

2,376 / 16 = 148.5

 

대략 150대의 상차가 필요함

 

 

상차에 걸리는 시간은 현장에 따라 다르므로.. 현장의 경험이 중요

 

 

 

 

 

1톤을 D10규격으로 단위 중량으로 계산을 해보자

1000 / 0.56 = 1,785.71...

 

철근 표준 8M로 자르기 때문에 8로 나누어 보자

1,785.71 / 8 = 223.21...

 

1톤 기준 대략 223가닥이 나온다.

 

 

 

최근 철근 가격은 아래를 통해 확인해보자.

http://blog.daum.net/7923115/8741625

 

2020년 2월 철근가격, 철근단가, 철근시세, 철근가격표

▣2월 둘째주 철근가격▣ *국산 철근* 품목 규격 가닥수 단가 국산 KS 하이바 철근 H10 210 615~640 H13 120 605~630 H16 75 600~625 H19 56 600~625 H22 41 600~625 H25 32 600~625 (HD16이상 가격 동일) *비고 (..

blog.daum.net

국산 철근 가격

 

 

 

지질검사

공사 전 흙의 지질을 검사하고 땅 아래의 상황을 알아 보기 위해 뚫어본다.

6M 깊이에서 지하수가 발견.

이번 공사에서 10M 이상 터파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지하수를 막기 위해 SGR공법이 추가될 예정이다. (설계도면참조)

지질검사를 위해 흙을 파놓음

 

표시

설계 도면을 보고 실측을 하여 표시

설계도면을 실제 땅에 표시

 

CIP + SGR 

이번 공사에서 CIP + SGR 공법으로 터파기가 진행 될 예정이다.

이러한 공법을 쓰는 이유는 도심에서 좁은 공간에서 원활하게 공사를 진행하기 위함이다.

 

  • 일직선으로 흙을 파기가 불가능하다. 
  • 흙을 파다가 옆집이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에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자세한건 772님의 유투브를 참조하자

 

 

 

CIP는 대략 아래와 같이 작업이 진행된다.

 

 

SGR 공법은 약액주입공법의 종류 중 하나로 자세한건 아래 잉어TV의 유투브를 참조하자

(세상 참 좋아짐.. 찾으면 다나와^^)

 

+ Recent posts